[CEO풍향계] '책임론 공방' 최정우…'원전 세일즈' 황주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시간은, 한 주간, 기업 CEO들의 동향을 살펴보는 'CEO풍향계' 입니다.<br /><br />이번 주에는 최정우 포스코 그룹 회장과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이야기를 김종력,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포스코 포항제철소가 49년 만에 가동을 멈추는 침수 피해를 당했죠.<br /><br />이에 대해 최정우 포스코 그룹 회장의 책임론 공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발단은 산업통상자원부였죠.<br /><br />피해 복구와 수급 점검 과정에서 포스코의 예방 조치에 문제가 없었는지도 살펴보겠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포스코는 즉각 반응했습니다.<br /><br />시간당 110mm의 기록적 폭우에 만조가 겹쳐 냉천이 범람해 피해가 발생했다는 자료를 냈습니다.<br /><br />책임은 하천 관리주체에게 있다는 거였죠.<br /><br />업계도 태풍 피해 책임을 기업에 묻겠다는 정부 움직임을 곱지 않게 봤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정부 시절 수장에 오른 최정우 회장을 겨냥한 움직임 아니냐는 분석까지 나왔죠.<br /><br />그러자 이창양 산업부 장관이 "포스코 경영진 문책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"며 진화에 나섰지만, 산업부가 기업 문책 권한이 있는지에 대한 또 다른 논란이 불거졌습니다.<br /><br />지금은 책임 공방이 아니라 포항제철소 정상화에 힘을 모아야 할 때 아닐까요.<br /><br />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.<br /><br />취임 한 달 만에 원자력 발전 사업을 추진 중인 체코와 폴란드를 찾아 '원전 세일즈'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황 사장은 최근 실무진과 함께 체코와 폴란드를 방문했습니다.<br /><br />체코는 사업비 8.8조 원이 드는 원전 1기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고, 폴란드는 총 40조 원을 들여 신규 원전 6기를 건설할 계획이죠.<br /><br />한수원은 지난 4월 폴란드에 사업 제안서를 냈고, 체코에는 11월 제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황 사장은 두 나라 원전 당국과 사업 관계자들을 만나 한국 원전의 우수성을 홍보했습니다.<br /><br />안전성과 경제성, 시공 역량 등을 고려하면 한수원이 신규 원전의 최적 공급자라고 강조했죠.<br /><br />수주전은 우리나라와 미국, 프랑스의 3파전으로 진행 중인데요.<br /><br />건설 단가에서 우리가 확실한 경쟁력이 있는 만큼, 다른 산업 분야 협력 카드가 더해진다면 수주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구자은 LS그룹 회장.<br /><br />그룹의 미래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'LS Future Day'를 개최했습니다.<br /><br />'LS Future Day'는 2004년부터 실시해 온 연구개발 성과공유회를 기존 사업뿐 아니라 미래 사업 분야로 확장한 행사입니다.<br /><br />구 회장을 비롯해 각 계열사 임직원 200여 명이 참석했죠.<br /><br />구 회장은 신사업과 기술, 혁신 등 3가지 분야에서 성과가 좋은 프로젝트 20개를 선정해 시상했습니다.<br /><br />우수 프로젝트 리더들에게는 내년 국제가전전시회, CES 참관 기회도 주어졌죠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구 회장은 누리호 개발진 오영재 연구원이 발사 성공을 위해 32년간 노력했다는 사례를 소개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직원들에게 "로켓처럼 날아오를 수 있도록 발사대 역할을 하겠으니, 마음껏 도전하라"고 말했죠.<br /><br />또 전 구성원이 LS의 미래를 바꿀 미래 선도자가 돼 2030년에는 지금보다 두 배 성장한 LS를 만들자는 목표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.<br /><br />플랫폼 사업 확대를 통해 기업 가치를 12조 원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황 사장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중장기 성장전략을 발표했는데요.<br /><br />핵심은 2027년까지 비통신 분야 매출 비중을 2021년 대비 2배 수준인 40%까지 늘리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라이프스타일과 놀이, 성장 케어와 웹3.0 등 네 개 분야에서 플랫폼 사업을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구체적으로 IPTV를 통해 제공되는 어린이 콘텐츠를 모바일 중심의 어린이용 OTT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내놨죠.<br /><br />경쟁사들은 인공지능과 자율주행, 로봇 같은 신산업 분야에 도전하고 있죠.<br /><br />반면 황 사장의 발표는 기존에 잘했던 분야를 플랫폼으로 확대해 더 매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되기도 하는데요.<br /><br />황 사장의 새로운 성장전략이 LG유플러스의 새로운 도약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지켜보겠습니다.<br /><br />무역과 환율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올해 무역적자가 역대 최대인 281억 달러에 이르고, 원달러환율은 최대 1,480원까지 치솟을 수도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기업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인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수출 증대와 환율 안정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할 때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CEO풍향계입니다.<br /><br />#포스코 #한수원 #LS그룹 #LG유플러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